법률행정

부당해고 고소 가능 여부 | 부당한 해고에 대한 형사적 대응과 절차

이야기꾼ps 2025. 5. 23. 01:50

부당해고 고소 가능 여부 | 부당한 해고에 대한 형사적 대응과 절차 정리

부당한 이유로 일방적으로 직장에서 해고당한 경우, 많은 근로자들이 형사 고소를 고려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부당해고가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형사 고소가 가능한 경우는 법률상 제한된 상황에 해당합니다. 이 글에서는 부당해고의 개념과 고소가 가능한 사례, 절차를 정리합니다.


부당해고란?

부당해고는 근로기준법 제23조에 위반되는 해고로, 정당한 이유 없이 또는 해고 사유나 절차를 위반하여 이루어진 해고를 말합니다.

  • 인사상 불이익을 주기 위한 보복성 해고
  • 성희롱, 공익신고 등으로 인한 보복성 해고
  • 서면 통지 없는 일방적 통보

📌 사용자는 해고 사유와 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하며, 절차상 위반은 모두 부당해고 사유입니다.


부당해고의 대응 방법

  1.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 (60일 이내)
  2. 민사소송으로 해고 무효 확인청구
  3. 형사 고소 또는 고발 (조건부)

형사 고소가 가능한 부당해고 사례

사례 유형 설명
공익신고자 보복 해고 공익신고자 보호법 위반으로 형사 고발 가능
산업재해 은폐 목적 해고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형사처벌 대상
성희롱 피해자 해고 남녀고용평등법 및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검찰 고발 가능
부당한 해고 협박·강요 협박, 강요죄 등 형법 위반에 해당 시 형사 고소 가능

📌 대부분의 부당해고는 민사나 행정 절차가 원칙이며, 형사처벌은 예외적인 경우에 한함


형사 고소 절차

  1. 증거자료 확보 (해고통지서, 문자, 녹취, 증언 등)
  2. 관할 경찰서 또는 검찰청에 고소장 접수
  3. 수사기관 조사 및 피고소인 출석요구
  4. 기소 여부 판단 및 형사처벌 여부 결정

병행 가능한 법적 구제 수단

  • 부당해고 구제신청: 원직 복직 또는 임금 손실 보상 청구 가능
  • 민사소송: 해고 무효확인 및 손해배상 청구 가능
  • 행정신고: 고용노동부 또는 노동청에 민원 접수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단순한 부당해고도 형사 고소할 수 있나요?

  • 대부분의 부당해고는 민사절차가 우선이며, 공익침해나 법령 위반이 명백할 때 형사 고소가 가능합니다.

Q2. 고소 없이도 부당해고를 구제받을 수 있나요?

  • 네. 노동위원회 구제신청이나 민사소송을 통해 충분히 복직 및 손해배상 판결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공익신고자 해고는 어디에 신고하나요?

  • 국민권익위원회 또는 고용노동부를 통해 보호 신청 및 고소 가능하며, 신분보장 조치도 함께 요청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정리

부당해고는 근로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중대한 행위이며, 대부분은 민사·행정적 구제 절차로 해결되지만, 공익신고 보복, 산업재해 은폐, 성차별 해고 등 특정 상황에서는 형사 고소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건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구제 절차를 선택하고, 필요시 노무사나 변호사와의 상담을 통해 법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함께 검색되는 연관 키워드

  • 부당해고 고발 방법
  • 노동청 부당해고 진정
  • 부당해고 구제신청 절차
  • 해고 무효 확인 소송
  • 공익신고자 해고 대응
  • 산업재해 해고 법적 대응